PeterLee.KR
Today
Literature
Dance
Public_Administration
Programming
programming
Easy Pay System
Paypal
Something else here
Carpentry
Chronology
Tanzmate
Cntanz
Search
Edit
Back to List
PersonModel
ID
Date
Target
Title
Contents
20230526 item에서 datas테이블의 picture, picture1, picture2, picture3, picture4, picture5, picthure6 이렇게 일곱 개의 데이터가 있다. 여기에 사진 이름 파일명을 쓰고 동일한파일명_1.jpg부터 동일한파일명_6.jpg 까지 일곱개의 사진 파일을 넣을 수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난 picture column에는 그동안 사진자료를 넣지 않았다. 지금 쓰는 이 규칙에 대한 글 조차도 나중에 기억이 가물거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스 직접 row data table값 datas를 MSSQL 로 직접 열어보고 데이터를 일일이 보며 사진 데이터를 어떻게 넣었는지 알게 돼었다. 향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시에는 이러한 규칙에 대한 부분을 미리 지정한 후 지켜나가는 식으로 정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자 우선 기존의 것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item.picture1의 값을 가져오고 여기서 마지막 부분 .jpg를 중심으로 split한 string 배열값을 토대로 프로그래밍 적용한다. chatGPT의 split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다. string picture = item.picture1; //여기서 item.picture1은 어떤파일명_01.jpg로 구성되어 있을 것이다. string[] substrings = picture.split('.'); // 이렇게 하면 .을 중심으로 어떤파일명_01.jpg를 어떤파일명_01과 jpg 이렇게 두 개의 substrings를 얻는다. 이 때 substrings[0]이 어떤파일명_01이 될 것이다. substrings[1]은 jpg가 될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얻고자 하는 값은 어떤파일명_01 즉 substrings[0]을 다시 1을 중심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그동안 규칙을 적용해 쓴 파일명을 보면 대개 다음과 같다. 샘플1 무용마루20190829-서울서교동-Assemble-EREA_신이안-6.jpg 무용마루20190829-서울서교동-Assemble-EREA_신이안-5.jpg 무용마루20190829-서울서교동-Assemble-EREA_신이안-4.jpg 무용마루20190829-서울서교동-Assemble-EREA_신이안-3.jpg 무용마루20190829-서울서교동-Assemble-EREA_신이안-2.jpg 무용마루20190829-서울서교동-Assemble-EREA_신이안-1.jpg 샘플2 20181103-사당동개인연습실-1.jpg 20181103-사당동개인연습실-2.jpg 20181103-사당동개인연습실-3.jpg 20181103-사당동개인연습실-4.jpg 20181103-사당동개인연습실-5.jpg 20181103-사당동개인연습실-6.jpg 샘플3 20230519_서울공연예고01.jpg 20230519_서울공연예고02.jpg 20230519_서울공연예고03.jpg 20230519_서울공연예고04.jpg 샘플1과 샘플2의 경우라면 .으로 split한 후 -을 토대로 다시 한 번 split을 하면 될 듯 하긴 하다. 안타깝게도 샘플3에서는 이러한 규칙이 무너졌다. 따라서 향후 파일명 규칙을 지정하고 이를 지킬 필요가 있다.
Back to List